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제스트레스
- 부모교육
- 부부관계회복
- 온라인상담 카운슬러코리아
- 청소년우울
- 불안
- 사춘기부모
- 30대부부갈등
- 심리상담
- 심리학
- 가족치료
- 가족체계이론
- 불안심리
- 사춘기소통
- 재테크스트레스
- 사춘기은둔
- 온라인심리상담
- 사춘기 대화
- 부부공동목표
- 마음건강
- 빈둥지시기
- 갱년기부부
- 사춘기자녀
- 중년부부갈등
- 중년기우울
- 청소년불안
- 사춘기심리
- 가족상담
- 심리학블로그
- 황혼이혼예방
- Today
- Total
목록청소년불안 (2)
마음이 머무는 곳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은 단순한 반항이 아닙니다. 가족치료 시각에서 방 안에 숨어드는 행동이 외로움의 신호일 수 있는 이유와 부모가 취할 수 있는 태도를 안내합니다.” 1. 닫힌 방문, 부모의 불안집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보이는 건 닫힌 방문입니다. 아이는 방 안에서 음악을 듣거나 휴대폰을 붙잡고 있고, 부모는 문 앞에서 한참을 서성이다가 “밥 먹어라” 한 마디만 던지고 돌아서죠. 이렇게 반복되다 보면 부모 마음엔 불안이 쌓입니다. “얘가 왜 이렇게 방에만 있을까? 혹시 은둔형이 되는 건 아닐까?”많은 부모가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을 반항이나 게으름으로 치부합니다. 하지만 가족치료 관점에서 보면, 그 행동은 외로움의 또 다른 표현일 수 있습니다. 아이는 혼자 있고 싶어서가 아니라, 집 안에서 자..

청소년들의 집중력 저하와 불안은 단순한 게으름이나 의지 부족이 아닙니다. 요즘 부모님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문제는 자녀가 휴대폰과 유튜브·쇼츠·SNS에 몰두하면서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고, 기기가 없으면 불안해하는 모습입니다. 혹시 ADHD가 아닌가 의심하는 경우도 많지만, 실제로는 불안과 환경적 요인이 깊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소년 불안과 집중력 저하, 그리고 부모가 알아야 할 심리적 뿌리를 전문가의 시각에서 설명합니다. 1. 단순한 산만함일까, 아니면 불안일까?청소년기의 집중력 저하는 흔히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혼동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모든 산만함이 ADHD 때문은 아닙니다. 특히 요즘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자라나면서 “끊임없는 자극”에 적응되어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