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춘기부모
- 청소년우울
- 사춘기심리
- 사춘기 대화
- 온라인심리상담
- 재테크스트레스
- 사춘기자녀
- 심리상담
- 사춘기소통
- 갱년기부부
- 가족치료
- 심리학
- 부부공동목표
- 가족상담
- 불안
- 마음건강
- 불안심리
- 빈둥지시기
- 중년부부갈등
- 사춘기은둔
- 황혼이혼예방
- 온라인상담 카운슬러코리아
- 가족체계이론
- 30대부부갈등
- 부모교육
- 경제스트레스
- 심리학블로그
- 중년기우울
- 청소년불안
- 부부관계회복
- Today
- Total
목록사춘기부모 (2)
마음이 머무는 곳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은 단순한 반항이 아닙니다. 가족치료 시각에서 방 안에 숨어드는 행동이 외로움의 신호일 수 있는 이유와 부모가 취할 수 있는 태도를 안내합니다.” 1. 닫힌 방문, 부모의 불안집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보이는 건 닫힌 방문입니다. 아이는 방 안에서 음악을 듣거나 휴대폰을 붙잡고 있고, 부모는 문 앞에서 한참을 서성이다가 “밥 먹어라” 한 마디만 던지고 돌아서죠. 이렇게 반복되다 보면 부모 마음엔 불안이 쌓입니다. “얘가 왜 이렇게 방에만 있을까? 혹시 은둔형이 되는 건 아닐까?”많은 부모가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을 반항이나 게으름으로 치부합니다. 하지만 가족치료 관점에서 보면, 그 행동은 외로움의 또 다른 표현일 수 있습니다. 아이는 혼자 있고 싶어서가 아니라, 집 안에서 자..

“부모의 감정은 사춘기 자녀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불안과 화가 대화를 끊지 않도록, 가족치료 시각에서 부모가 감정을 다스리고 아이와 소통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부모의 감정은 사춘기 아이에게 그대로 전해진다사춘기 아이와 대화하다 보면 부모가 먼저 화가 나거나, 불안이 치밀어 오를 때가 있죠. 사실 아이가 대화를 피하는 이유 중 큰 부분은 부모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가족치료에서는 이런 과정을 세대 간 정서가 전해지는 흐름으로 봅니다.부모가 불안하면 아이도 불안해지고, 부모가 화를 내면 아이는 자기 잘못 때문이라고 오해합니다. 부모가 늘 지쳐 있다면 아이는 대화할 힘조차 잃어버리게 됩니다. 사춘기 아이는 아직 감정을 다루는 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의 정서 상태가 거울처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