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불안
- 심리학블로그
- 중년기우울
- 갱년기부부
- 중년부부갈등
- 부모교육
- 청소년우울
- 가족체계이론
- 심리학
- 빈둥지시기
- 재테크스트레스
- 경제스트레스
- 사춘기자녀
- 사춘기부모
- 30대부부갈등
- 사춘기 대화
- 청소년불안
- 가족치료
- 사춘기심리
- 부부관계회복
- 온라인상담 카운슬러코리아
- 부부공동목표
- 불안심리
- 황혼이혼예방
- 가족상담
- 마음건강
- 사춘기소통
- 심리상담
- 온라인심리상담
- 사춘기은둔
- Today
- Total
목록가족상담 (5)
마음이 머무는 곳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은 단순한 반항이 아닙니다. 가족치료 시각에서 방 안에 숨어드는 행동이 외로움의 신호일 수 있는 이유와 부모가 취할 수 있는 태도를 안내합니다.” 1. 닫힌 방문, 부모의 불안집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보이는 건 닫힌 방문입니다. 아이는 방 안에서 음악을 듣거나 휴대폰을 붙잡고 있고, 부모는 문 앞에서 한참을 서성이다가 “밥 먹어라” 한 마디만 던지고 돌아서죠. 이렇게 반복되다 보면 부모 마음엔 불안이 쌓입니다. “얘가 왜 이렇게 방에만 있을까? 혹시 은둔형이 되는 건 아닐까?”많은 부모가 사춘기 아이의 방 안 생활을 반항이나 게으름으로 치부합니다. 하지만 가족치료 관점에서 보면, 그 행동은 외로움의 또 다른 표현일 수 있습니다. 아이는 혼자 있고 싶어서가 아니라, 집 안에서 자..

“부모의 감정은 사춘기 자녀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불안과 화가 대화를 끊지 않도록, 가족치료 시각에서 부모가 감정을 다스리고 아이와 소통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 부모의 감정은 사춘기 아이에게 그대로 전해진다사춘기 아이와 대화하다 보면 부모가 먼저 화가 나거나, 불안이 치밀어 오를 때가 있죠. 사실 아이가 대화를 피하는 이유 중 큰 부분은 부모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가족치료에서는 이런 과정을 세대 간 정서가 전해지는 흐름으로 봅니다.부모가 불안하면 아이도 불안해지고, 부모가 화를 내면 아이는 자기 잘못 때문이라고 오해합니다. 부모가 늘 지쳐 있다면 아이는 대화할 힘조차 잃어버리게 됩니다. 사춘기 아이는 아직 감정을 다루는 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의 정서 상태가 거울처럼 비..

가족은 때로는 가장 큰 상처를 남기지만, 동시에 가장 큰 치유의 힘을 주는 공간입니다. 상담심리학적 시각에서 가족 관계가 지닌 상처와 회복의 역설을 풀어봅니다. 가족, 가장 가깝기에 가장 아픈 자리가족은 누구에게나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성장하고, 부모와의 애착을 통해 세상과 만나는 방식을 배웁니다.심리학적으로도 가족은 인간 발달의 기초이자 정서적 토대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 가까움 때문에 가족은 우리에게 가장 큰 상처의 근원이 되기도 합니다.상담실에서 부모와 자녀, 부부를 만나보면 비슷한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가족끼리인데 왜 이렇게 힘들까요?”“사랑하는 사인데 왜 서로에게만 더 날카로울까요?”그만큼 가족은 우리의 마음 깊숙한 곳을 건드리는 존재입니다. ..

“사춘기 대화 단절, 반항으로만 보지 마세요. 가족치료 관점에서 그 속에 담긴 아이의 메시지와 부모의 태도를 알려드립니다.” 부모님들이 제일 자주 하는 말 중 하나는,“얘가 요즘 말이 없어요. 뭘 물어봐도 ‘몰라’, ‘그냥’만 하고 방에 들어가 버려요.”많은 부모가 “사춘기니까 그렇다” 하고 넘기지만, 상담실에서 보면 그 속에는 단순한 변덕이 아니라 가족 안의 정서적 긴장과 변화가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단답형 대화의 진짜 의미저녁 식탁에서 이런 장면, 낯설지 않으실 거예요.엄마: “학교 어땠어?”아들: “몰라.”엄마: “맨날 몰라만 해. 엄마랑 좀 얘기 좀 해라.”아들: “됐어.” (방으로 들어가 버림)부모는 속이 터집니다. 그런데 아이 입장에서 보면 이 행동은 “나는 내 공간이 필요해”라는..

빈둥지 시기의 심리 변화와 부부 관계 회복 전략빈둥지 시기는 자녀가 성장해 독립하며 부부만 남게 되는 가족생활주기의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이 시기에는 심리적 공허감과 관계 변화가 동시에 찾아오며, 부부 관계, 정체성 변화, 그리고 중년기 심리가 깊게 얽히게 됩니다. 단순한 가족 구성의 변화가 아니라, 부부가 그동안 ‘부모’라는 역할로 쌓아온 정체성을 재정립해야 하는 심리적 과제를 마주하게 되는 시기로 본문에서는 가족체계이론과 애착이론을 바탕으로 빈둥지 시기의 심리 변화와 회복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1. 빈둥지 시기의 의미와 전환점빈둥지 시기는 단순히 자녀가 떠나 집안이 조용해지는 사건이 아닙니다. 많은 부부는 이 변화를 맞이하며, 그동안 함께하던 일상의 활기와 의미가 사라지는 것을 체감합니다. 이..